전체 글185 DNS ⭐ DNS (Domain Name System)도메인 주소를 매핑되어 있는 IP 주소로 변환하여 주는 시스템사용자가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면, DNS가 매치된 IP 주소를 찾아서 접속하게 해준다. 마치 인터넷의 전화번호부같은 역할을 한다. 인터넷에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IP는 숫자로 이루어진 주소로 (192.0.0.0 )사람이 인식하거나 외우기 쉽지 않기 때문에 www.example.com 과 같은 도메인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것!( 192.0.0.0 ↔ www.example.com )⭐ 도메인 네임 스페이스 도메인 정보들을 계층적 구조로 저장 관리한다. 한곳에 세상의 모든 DNS 정보를 저장할 수 없으니 계층적으로 정보를 분산 저장한다. ⭐ 네임 서버 권한 있는 DNS 서버 도메.. 2024. 6. 21. Redis와 Lettuce ⭐ 레디스 (Redis) 레디스는 key-value 구조로 이루어진 NoSQL 데이터 저장소이다.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인메모리 DB)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속도가 빠르다. 레디스는 세션 클러스터링이나 캐시 서버 등으로 활용된다. ▶ 세션클러스터링 : WAS가 2대 이상(다중 서버)인 경우 대체된 WAS에서도 동일한 세션을 유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 캐시 서버 : 한번 읽어들인 데이터를 레디스에 저장하여 다음에 데이터를 조회할때 빠르게 조회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 Lettuce 레디스 자바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는 Jedis, Lettuce 등이 있는데 지금 회사에서 하는 프로젝트는 Jedis를 사용하다가 Lettuce로 변경했다. Jedis는 동기적으로 동작하는 한계가 .. 2024. 2. 7. 이메일 전송서비스 SPF, DKIM, DMARC 설정하기 (ft.Gmail정책바뀜) 2024년 2월부터 Gmail 정책이 바뀌어 설정해야되는 가이드라인이 생겼다. 이 가이드라인을 따르지 않으면, Gmail에 전송하는 메일의 전송 속도가 느려지거나 스팸으로 표기 될 수 있다. 🔴 요구사항 1. > 도메인에 SPF 또는 DKIM 이메일 인증을 설정합니다. SPF와 DKIM은 도메인의 DNS 레코드 설정을 해주면된다. ⭐ SPF(Sender Policy Framework) : 메일서버등록제 메일서버 정보를 DNS에 등록함으로써 수신자로 하여금 발송자 정보가 실제 메일 서버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기술 ▶ TXT 레코드로 추가 레코드명 : @ 또는 빈칸 값 : v=spf1 include:mailgun.org ~all ⭐ DKIM (Domainkeys Identified .. 2024. 2. 1. 구글 Postmaster Tools에서 스팸 비율 조회하기 구글 Postmaster Tools에서 이메일 스팸 비율 조회할 수 있다. 1. Postmaster (https://gmail.com/postmaster)에 접속한다. 2. Get Started 버튼 클릭 3. 오른쪽 하단에 + 버튼 클릭 4. 작은 창이 뜨면 입력칸에 메일 도메인 입력하고 Next 버튼 클릭 ex ) company@example.kr 이라면 example.kr 만 입력 5. 도메인 DNS 관리에서 TXT 레코드 추가하기 회색네모칸에 있는 내용 TXT레코드로 추가하면됨! 6. TXT레코드가 정상적으로 설정되면 스팸 비율 리포트가 조회된다. TXT레코드가 정상적으로 설정되면 Status가 Verified로 뜬다. 적용 직후에는 데이터가 없어서 이렇게 뜨기도함! 참고한 사이트 👇 https:.. 2024. 1. 31. 쿠키와 세션 ⭐ 쿠키와 세션은 왜 필요할까? HTTP 프로토콜은 비연결성, 무상태성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비연결성(Connetionsless)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그에 대한 응답을 보낸 후 연결을 끊는다. - 무상태성(Stateless) : 요청마다 연결을 유지하지 않고 끊기 때문에 상태정보도 유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의 장점은 연결을 계속 유지하지 않으므로 서버의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요청마다 연결상태 정보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없다. 즉, 같은 사용자의 요청이 여러번 들어와도 매번 새로운 사용자의 요청으로 인식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 점을 보안하기 위해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ex. 로그인상태 .. 2024. 1. 19. [CSS] 미디어쿼리 @media CSS 미디어 쿼리를 활용해서 반응형 웹을 구현할 수 있다. 미디어 쿼리는 화면 사이즈마다 CSS를 각각 명시해 줄 수 있다. 한마디로 넓은 화면일 때 / 작은 화면일 때 적용할 CSS를 각각 설정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데, @media (min-width: 1000px) { .yoso {color: white;} } min-width가 1000일 때 = width가 1000이상일 때 .yoso의 컬러가 white가 된다. @media (max-width: 1000px) { .yoso {color: black;} } 이 경우는 max-width가 1000일 때 = width가 1000이하일 때 .yoso의 컬러는 black이 된다. ⭐ width 뿐만 아니라 height 조건도.. 2024. 1. 12. 이전 1 2 3 4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