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해커톤 대회에 참가하는 모든 참가자들에게는 숫자들과 3가지의 연산문자(+, -, *) 만으로 이루어진 연산 수식이 전달되며, 참가자의 미션은 전달받은 수식에 포함된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자유롭게 재정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숫자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단,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새로 정의할 때, 같은 순위의 연산자는 없어야 합니다. 즉, + > - > * 또는 - > * > + 등과 같이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으나 +,* > - 또는 * > +,-처럼 2개 이상의 연산자가 동일한 순위를 가지도록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수식에 포함된 연산자가 2개라면 정의할 수 있는 연산자 우선순위 조합은 2! = 2가지이며, 연산자가 3개라면 3! = 6가지 조합이 가능합니다.
만약 계산된 결과가 음수라면 해당 숫자의 절댓값으로 변환하여 제출하며 제출한 숫자가 가장 큰 참가자를 우승자로 선정하며, 우승자가 제출한 숫자를 우승상금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 중 네오가 아래와 같은 수식을 전달받았다고 가정합니다.
"100-200*300-500+20"
일반적으로 수학 및 전산학에서 약속된 연산자 우선순위에 따르면 더하기와 빼기는 서로 동등하며 곱하기는 더하기, 빼기에 비해 우선순위가 높아 * > +,- 로 우선순위가 정의되어 있습니다.
대회 규칙에 따라 + > - > * 또는 - > * > + 등과 같이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 있으나 +,* > - 또는 * > +,- 처럼 2개 이상의 연산자가 동일한 순위를 가지도록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수식에 연산자가 3개 주어졌으므로 가능한 연산자 우선순위 조합은 3! = 6가지이며, 그 중 +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결괏값은 22,000원이 됩니다.
반면에 * > + > - 로 연산자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수식의 결괏값은 -60,420 이지만, 규칙에 따라 우승 시 상금은 절댓값인 60,420원이 됩니다.
참가자에게 주어진 연산 수식이 담긴 문자열 expressi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우승 시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상금 금액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expression은 길이가 3 이상 1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expression은 공백문자, 괄호문자 없이 오로지 숫자와 3가지의 연산자(+, -, *) 만으로 이루어진 올바른 중위표기법(연산의 두 대상 사이에 연산기호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표현된 연산식입니다. 잘못된 연산식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즉, "402+-561*"처럼 잘못된 수식은 올바른 중위표기법이 아니므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expression의 피연산자(operand)는 0 이상 999 이하의 숫자입니다.
- 즉, "100-2145*458+12"처럼 999를 초과하는 피연산자가 포함된 수식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56+100"처럼 피연산자가 음수인 수식도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expression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산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연산자 우선순위를 어떻게 적용하더라도, expression의 중간 계산값과 최종 결괏값은 절댓값이 263 - 1 이하가 되도록 입력이 주어집니다.
- 같은 연산자끼리는 앞에 있는 것의 우선순위가 더 높습니다.
입출력 예
expression | result |
"100-200*300-500+20" | 60420 |
"50*6-3*2" | 300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7257
코딩테스트 연습 - 수식 최대화
IT 벤처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라이언은 매년 사내 해커톤 대회를 개최하여 우승자에게 상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우승자에게 지급되는 상금을 이전 대회와는 다르게 다음과
programmers.co.kr
😊 나의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ArrayList<String> arr = new ArrayList<>();
long max = 0;
public long solution(String expression) {
long answer = 0;
long num = 0;
String susicStr = "";
if(expression.indexOf('-')>0) susicStr+="- ";
if(expression.indexOf('+')>0) susicStr+="+ ";
if(expression.indexOf('*')>0) susicStr+="* ";
String[] susic = susicStr.split(" ");
String ex = "";
for (int i = 0; i < expression.length(); i++) {
char e = expression.charAt(i);
if (e == '-' || e == '*' || e == '+') {
arr.add(ex);
arr.add("" + e);
ex = "";
} else {
ex += e;
}
}
arr.add(ex);
String[] output = new String[susic.length];
boolean[] visited = new boolean[susic.length];
perm(susic, output, visited, 0, susic.length);
return max;
}
public long calculate(long n1, long n2, String susic) {
if(susic.equals("-")) {
return n1-n2;
}else if(susic.equals("+")) {
return n1+n2;
}else {
return n1*n2;
}
}
public long calculate2(ArrayList<String> copiedArr,String[] susic) {
int susicIndex = 0;
while(copiedArr.size()>1) {
for(int i=0; i<copiedArr.size();i++) {
if(copiedArr.get(i).equals(susic[susicIndex])) {
long cal = calculate(Long.parseLong(copiedArr.get(i-1)), Long.parseLong(copiedArr.get(i+1)), copiedArr.get(i));
copiedArr.set(i-1, Long.toString(cal));
copiedArr.remove(i+1);
copiedArr.remove(i);
i--;
}
}
susicIndex++;
}
return Long.parseLong(copiedArr.get(0));
}
public void perm(String[] susic, String[] output, boolean[] visited, int depth, int n) {
if (depth == n) {
ArrayList<String> copiedArr = new ArrayList<>();
copiedArr.addAll(arr);
long cal = Math.abs(calculate2(copiedArr,output));
if(cal>max) {
max = cal;
}
return;
}
for (int i=0; i<n; i++) {
if (visited[i] != true) {
visited[i] = true;
output[depth] = susic[i];
perm(susic, output, visited, depth + 1, n);
visited[i] = false;
}
}
}
}
1. 수식에 나온 연산 susic[] 배열에 담기
2. 수식에 나온 숫자/연산 arr 리스트에 담기
3. perm 메소드로 연산의 우선순위 순열 구하기
4. caculate2 메소드로 우선순위에 따른 결과 계산하여 리턴
5. max 값과 비교하여 제일 큰 결과값 저장하여 리턴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V2. 2개 이하로 다른 비트 (자바) (0) | 2022.03.12 |
---|---|
프로그래머스 LV2. 숫자의 표현 (자바) (0) | 2022.03.11 |
프로그래머스 LV1. 직사각형 별찍기 (자바) (0) | 2022.03.10 |
프로그래머스 LV1. 행렬의 덧셈 (자바) (0) | 2022.03.10 |
프로그래머스 LV2. DATETIME에서 DATE로 형 변환(MySQL) (0) | 2022.03.09 |
댓글